반응형

운동과부상 60

족저근막염, 장경인대염, 종아리 통증의 예방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등산과 걷기 등 야외 운동을 즐기시는 분들이 많아 지신 것 같습니다. 야외 운동을 꾸준히 즐기시기 위해서는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항상 준비해야 합니다. 스트레칭, 마시지, 폼롤러 등으로 관리하고 각종 부상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모든 부상은 발생하기 전까지는 나와 상관없는 일이지만 발생하고 나면 그 무엇보다 고통스럽습니다. 간단한 스트레칭 하나가 족저근막염과 같은 상상하기도 싫은 질병의 예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저는 일부러 시간을 내어 특별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보다 일상 생활 속에서 수시로 다양한 동작을 응용해서 스트레칭 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이 오히려 더욱 많은 시간 그리고 자주 스트레칭을 할 수 있어 훨씬 효과적입니다. 위의..

운동과부상 2020.06.15

월간 산 '등산과 무릎' 특집 기사 소개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등산 전문 잡지인 '월간 산'에서 '등산과 무릎'을 주제로 한 특집 기사가 있길래 소개해 드립니다. 이 기사의 내용은 제가 '핏짜워킹'이라는 명칭으로 바르게 걷기에 대하여 알려드리고 있는 내용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누구의 주장이 더 맞는지에 대한 토론을 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기에 기사 내용에 대한 별도의 코멘트는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 스스로 핏짜워킹과 이 특집 기사 내용을 비교하며 공부해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모든 정보는 항상 옳다는 생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어떤 부분에서 옳고 또 어떤 부분에서 그렇지 않은지 또 특히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지를 잘 살피며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추울수록 등산·트레킹이..

운동과부상 2020.01.24

어떤 철분제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까?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지난 번에 '운동 후 회복이 잘 안되면 무엇이 문제일까?'란 포스팅을 올리며 운동성 빈혈 그리고 철분제의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https://thankspizza.tistory.com/564 운동 후 회복이 잘 안되면 무엇이 문제일까?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운동을 할 때 호흡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내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야 우리 몸이 더욱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빨리 달리기, (등산) 오르막 오르기 등의 매우.. thankspizza.tistory.com 이번에는 어떤 철분제를 구입하면 좋은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19140510 ‘철 결핍성 빈혈’에 취약한 여성들, 천..

운동과부상 2019.11.15

바른 자세, 바르게 걷기의 중요성(생로병사의 비밀)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지난 주 KBS 시사교양프로인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바른 자세와 바르게 걷기의 중요성에 대한 '약이 되는 걷기, 독이 되는 걷기'편이 방송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내용이어서 재미있게 보았고 여러분들께 소개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물론 방송 내용 전체에 완전히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른 자세는 바르게 걷기는 물론 허리 디스크, 목 디스크(거북목) 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동작입니다. 이러한 바른 자세에도 방송에서는 어깨, 머리, 등 등을 세우는 정도로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의 글과 영상을 보신 분들은 이 뿐만 아니라 허리를 강조하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허리에 힘이 들어가는 것을 느끼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하늘과 땅 만큼의 차이가 난다고 ..

운동과부상 2019.11.14

등산과 진통제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많은 분들이 강한 운동 즉, 등산, 마라톤, 사이클 등을 할 때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통증 혹은 부상 등을 견디기 위해 테이핑, 보호대를 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처럼 외부의 도움을 이용하여 통증이나 부상을 참고 무리한 운동을 지속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특히 진통제에 의존하면서까지 운동을 지속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은 '과연 누가 그렇게까지 할까?'라는 생각을 하시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을 겁니다. 그리고 지금은 '누가 그렇게까지 할까?'라는 생각을 하시더라도 어느 순간 내일 있을 등산에 대비해 진통제를 준비하고 있게 될 지도 모릅니다. 아닐 것 같죠~^^ 2013년 9월 트랭글 FCB 클럽..

운동과부상 2019.08.29

건강한 생활의 기본, 바른 자세(생로병사의 비밀)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바른 자세가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바른 자세를 잘 유지하며 앉거나 서있으며 혹은 걷는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제대로 행하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바른 자세를 하는 방법을 찾아 봐도 너무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바른 자세를 하는 것도 어렵고 유지하기는 더욱 힘듦니다. 사실 바른 자세는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바른 자세는 우리 척추(경추, 흉추, 요추)의 원래 모양인 S라인과 경추, 요추의 C커브를 잘 유지하는 자세입니다. 그리고 바른 자세를 만드는 방법도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핏짜의 바른자세 강좌 https://youtu.be/9M4VYhrqZ1A 바로 선 자세에서 바른 자세를 취하는 방법은 바로 선..

운동과부상 2019.08.23

운동 후 회복이 잘 안되면 무엇이 문제일까?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운동을 할 때 호흡은 매우 중요합니다. 체내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야 우리 몸이 더욱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빨리 달리기, (등산) 오르막 오르기 등의 매우 강한 운동을 할 때 호흡량이 부족하여 충분한 산소 공급이 안되면 쉽게 지치고 운동 능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복식호흡, 구강호흡을 통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이전에 비해 훨씬 쉽게 운동 능력이 향상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너무나 쉬운 복식호흡 비법 https://thankspizza.tistory.com/257 [등산비법] 너무나 쉬운 복식 호흡 비법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저는 복식 호흡이라고 하면 깊은 산속에서 가부좌를 틀고 깊은 숨을 들이 마셨다 내쉬었다 하며 참선을 하는..

운동과부상 2019.08.16

너무나 쉬운 바른 자세 제대로 취하는 비법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생로병사의 비밀(KBS)과 명의(EBS)는 제가 아주 즐겨보는 프로그램입니다. 건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비록 방송이라 할지라도) 모든 정보는 항상 옳다는 생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어떤 부분에서 옳고 또 어떤 부분에서 그렇지 않은지 또 특히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지를 잘 살피며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번 생로병사의 비밀 '몸이 보내는 경고, 뒤태를 주목하라'편에서는 몸이 뒤틀렸을 때 겪을 수 있는 여러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특히 자세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꼭 시간을 내어서 한 번 영상으로 보시기 바랍니다.(KBS에서 무료로 다시 볼 수 있어 아주 좋습니다.)..

운동과부상 2019.08.09

평상시 무릎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아래의 글은 2016년 이치로 선수가 3천 안타를 달성하였고 엠팍 게시판에 이치로 선수에 대한 기사의 번역본이 올라왔을 때 제가 평소 생각하고 행하던 무릎, 종아리, 발바닥 등의 신체 관리와 유사한 부분이 많아 일부 인용하여 작성했던 글을 일부 수정, 추가 하여 새롭게 포스팅 합니다. 한 번 읽어 보시고 여러분께서도 평소에 무릎 등 신체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보고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얼마 전 이치로 선수가 2001년 MLB에 진출한 이후 3,000 안타라는 대기록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러한 대기록은 MLB 전체에서 단 30명만이 가지고 있는 기록입니다. 진심으로 한 선수에게 그리고 한 사람에게 존경을 담아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자주 찾는 엠팍에..

운동과부상 2019.06.27

쉽게 허리 펴는 바른 자세를 하는 비법

안녕하세요. 핏짜 김진모입니다. 여러분들은 바닥에 있는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위 이미지의 좌측처럼 들어 올리시나요 아니면 우측처럼 들어 올리시나요? 아마 좌측이 좋은 자세인 것을 잘 알고 있어도 우측처럼 들어올리시는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무심코 바닥에 있는 물건을 들어 올리다가 허리가 뜨끔하신 적 많으시죠? 왜 이러한 자세로 물건을 들어 올릴 까요? 저 역시 오래 전부터 이런 자세는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쉽게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항상 허리에 힘을 주고 앉아야지라는 생각을 하고는 있으나 막상 물건을 들려고 할 때는 무릎은 굽히지 않고 허리를 숙인 후에야 자세가 잘 못 되었다는 인식을 하였습니다. 그러다 언젠가부터 허리에 힘을 주거나 무릎을 굽혀 앉는 것에 신경을 쓰기보다 등을 펴는..

운동과부상 2018.04.04
반응형